본문 바로가기
psychology

교육심리학 공부_이론용어 정리

by Youngmy 2022. 1. 2.

* intasc 의 10가지 원칙

교과지식 :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의 구조와 중요개념, 탐구방법 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, 

교과내용을 학생들에게 의미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을 창조해낼 수 있어야 함.

 

학습과 인간발달 :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과 발달 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, 학생들의 지적, 사회적, 성격적 발달을

촉진할 수 있는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 필요.

 

적응적 교수활동: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방법과 관련된 개인차를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,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 방법에 적합한 

교수방법들을 개발 할 수 있어야 함

 

교수전략: 교사는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, 문제해결력, 과제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 

있는 교수전략들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, 실제 수업장면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함

 

동기와 학습관리 : 교사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상호작용, 적극적인 수업차며, 동기화를 촉진 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만드어 내기 위해

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에서 나타나는 학습동기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수업장면에 활용가능해야함

 

의사소통의 기술: 교실에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협력하며, 지지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언어적, 

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과 매체를 이용한 의사소통 기법을 이해한 후 이를 활용해야함

 

계획: 교사는 교과내용, 학생 , 지역사회 요구, 교육목표에 대한 자신의 지식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교수 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함

 

평가: 교사는 학생들의 계쏙적인 지적, 정의적 성장을 평가하고 학생들의 성장을 지속시키기 위한 공식적, 비 공식적

평가전략들을 알고 있어야함

 

헌신: 학교 공통체에 속해 있는 학생 , 학부모 , 다르교사들에게 자신이 미치는 영향을 계쏙적으로 평가하는 반성적 

실천가여야 하며, 스스로 전문가로서 성장해 갈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찾은 후 수행해야 한다.

 

협력관계 :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활동과 복지 향상을 위해 다른 동료교사, 학부모 , 지역사회 단체와 협력적 관계를 

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어야함

 

자료출처: 신임교사 자격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원칙들, INTASC

 

 

두뇌발달 연구 _ 용어정리 _ 뇌 생리와 기능

 

운동피질 (motor cortex) : 운동 조절

체성감각 피질 (somatosensory cortex) : 신체, 감각, 촉각, 체온

두정엽 (parietal lobe) : 지각 , 공간 처리 

후두엽(occipital lobe) : 시각 처리

소뇌 (cerebellum) : 동작, 운동기술

베르니케 영역 (wernicke's area) : 언어 이해

촉두엽 (temporal lobe) : 청각 처리 ,학습, 기억, 정서

브로카 영역 (boroca's area) : 언어산출

전두엽 (frontal lobe) : 계획, 추리, 정서표현

 

 

성격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
크게 두가지다 유전과 환경

환경에서는 부모 및 다른 성인 ( 교사 등) 과 또래로 나뉜다.

 

 

* 말하기 장애의 종류

 

발음장애 : 특정 소리를 다르것으로 대치,왜곡,생략 등과 같은 발음에 문제가 있음 

유창성장애 : 단어의 첫소리를 반복하며 말을 매끄럽게 잇지 못하는 것에 문제가 있음 

목소리장애 : 후두 또는 코나 목의 공기 흐름 문제가 있음

 

정보처리이론? 정보처리이론이란 자극이 어떻게 우리 기억 체계 속에 입력되고 ,저장을 위해 선택되고 조직되는지, 

그리고 어떻게 기억해서 인출되는지를 설명하는 학습이론이다 ( mayer)

 

정보 냉장고: 정보 유지창고

인지과정: 정보를 변화시키고 한 저장소에서 다른 저장소로 이동하는 등의 지적활동

메타인지: 개인의 인지과정에 대해 스스로 자각하고 그 과정을 조절하는 능력

 

감각기억이란 환경으로부터 들어온 자극의 처리까지의 기간동안 정보를 잠시 유지하는 정보 저장고 ( neisser)

 

문제해결모형의 순서

: 문제 확인하기 -> 문제 표상하기 - 전략 선택하기 -> 전략 수행하기 -> 결과 평가하기

 

귀인이론이란? 학습자가 자신의 성공과 실패르ㅡㄹ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동기에 대한 인지적 이론

세가지 귀인이론으로 나뉘는데 1. 책임소재 2.안정성 3. 통제